돈, 이제는 제대로 알고 벌자

소시와 함께하는 현실적인 돈공부

돈을 알면, 삶이 가벼워집니다.

돈, 이제는 제대로 알고 벌자

more

노후 생활비 절약 전략 2편: 정부·지자체 제도로 지출 줄이기

노후 생활비 절약은 개인의 금융 습관만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국가와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생활비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이번 2편에서는 기초연금, 주택연금, 교통·의료비 감면 제도, 지자체 복지 서비스 등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제도들을 살펴보겠습니다.1. 기초연금: 노후 생활비의 든든한 안전망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 어르신에게 지급되는 제도입니다. 2025년 기준 월 최대 4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으며, 부부가 함께 받으면 최대 8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생활비 보조 효과: 월 30만 원씩만 받아도 연간 360만 원, 10년이면 3600만 원의 생활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신청 방법: 주민센터나 국민연금공단을 통해 신청 가능하며, 소득·재산..

노후 생활비 절약 전략 1편: 금융·소비 패턴 점검으로 지출 줄이기

노후 준비에서 가장 현실적인 고민은 ‘매달 생활비’입니다.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이 있다 해도, 실제 생활비를 충당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이야기가 많습니다. 결국 핵심은 어떻게 지출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것인가에 달려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노후에 꼭 필요한 생활비 절약 전략을 금융·소비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1. 고정비 절감: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부분노후 재정 관리에서 가장 큰 효과를 보는 것은 ‘고정비 절감’입니다. 매달 자동으로 빠져나가는 비용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통신비 절감: 알뜰폰 요금제로 변경하면 월 3만 원 이상 줄일 수 있습니다. 1년이면 36만 원, 10년이면 360만 원의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보험료 재조정: 중복 보장이나 불필요한 특약을 ..

노후 자산 준비 체크리스트 2편: 생활비·주거·의료비 종합 점검

노후 준비는 단순히 돈을 모으는 문제를 넘어섭니다. 생활비, 주거 안정, 의료비와 같은 현실적인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2편에서는 노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3대 항목(생활비·주거·의료비)**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체크리스트를 정리해보겠습니다.1. 생활비: 매달 고정적으로 필요한 비용노후의 기본은 생활비입니다. 소득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매달 얼마가 필요한지를 먼저 계산해야 합니다.기본 지출 항목: 식비, 교통비, 관리비, 통신비 등 고정 지출을 추산해야 합니다. 현재 생활비에서 70% 정도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월 300만 원을 쓰고 있다면, 노후에는 210만 원 정도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여가·취미 비용 반영: 단순히 먹고 사는 비용만 ..

노후 자산 준비 체크리스트 1편: 30·40·50대별 금융 준비 전략

노후 준비라는 말은 누구나 들어봤지만, 막상 언제부터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감이 잘 오지 않습니다. 특히 국민연금 개편 논의가 계속되면서, “내 노후는 안전할까?”라는 불안감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준비의 시작 시점과 방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30대, 40대, 50대별로 구체적으로 어떤 금융 전략을 세워야 하는지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1. 30대: 기초 체력 다지기30대는 자산 형성의 출발선입니다. 이 시기를 어떻게 보내느냐가 노후 준비의 성패를 좌우합니다.저축 습관 확립: 소득의 최소 20%는 저축·투자로 돌리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월급이 적더라도 비율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연금저축·IRP 시작: 복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시기이므로, 일찍 시작할수록 유리합니다. 매달 10만..

국민연금 개편안 3편: 개인이 꼭 알아야 할 대응 전략

국민연금 개편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많은 분들이 불안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수령 시점은 늦어지고, 보험료율은 오르며, 지급률은 낮아질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사실은 제도 변화가 곧 ‘위기’만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오히려 안정적인 노후 자산을 구축할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민연금 개편안에 대응해 우리가 취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전략을 정리해보겠습니다.1. 연금 수령 공백기를 메우는 사전 준비개편안의 가장 큰 변수 중 하나는 연금 수령 개시 연령의 상향입니다. 만약 65세에서 67세로 늦춰진다면, 은퇴 후 최소 2년 이상의 ‘소득 공백기’가 생깁니다. 이 기간 동안 생활비를 확보하지 못하면, 국민연금이 개시되기 전까지 재정적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