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급 너머의 돈공부
[비과세 통장 시리즈 3편]청년형 ISA, 청년도약계좌 등 정책형 절세통장 총정리
소시앤코
2025. 7. 20. 10:53
“청년 전용 절세 통장, 어떤 게 더 유리할까?”
국가가 직접 지원하고 세제 혜택까지 챙길 수 있는 정책형 비과세 통장.
이번 편에서는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청년형 ISA, 청년도약계좌, 장병내일준비적금까지
주요 조건과 혜택을 비교 정리해드립니다.
1. 청년형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청년형 ISA는 일반 ISA에 비해 비과세 한도가 더 넓고 가입 조건이 완화된 버전입니다.
- 가입 가능 연령: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 소득 요건: 근로 또는 사업소득자 중 총급여 5,000만 원 이하
- 납입 한도: 연 2,000만 원, 총 1억 원까지
- 비과세 혜택: 수익 중 최대 400만 원까지 비과세
- 투자 가능 상품: 예적금, 펀드, ETF 등 자유롭게 운용
운용 기간이 3년 이상이어야 혜택 적용되며,
일반 ISA보다 **비과세 한도(200만 원 → 400만 원)**가 높다는 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2.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국가가 지원금을 넣어주는 장기적금 통장입니다.
- 가입 가능 연령: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 소득 요건: 개인소득 4,8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 납입 금액: 월 최대 70만 원까지
- 계약 기간: 5년
- 혜택: 이자소득 비과세 + 정부 기여금 지원 + 소득공제 가능
중도해지 시 정부지원금 회수되기 때문에 반드시 5년 만기까지 유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비과세와 소득공제, 기여금까지 한 번에 챙길 수 있는 대표적인 정책형 통장입니다.
3. 장병내일준비적금
현역병 또는 사회복무요원이 대상인 병역 의무자 전용 통장입니다.
- 가입 대상: 병역 의무 수행 중인 장병
- 납입 한도: 월 최대 40만 원
- 가입 기간: 복무 기간 동안
- 혜택: 이자 비과세 + 정부지원금 1:1 매칭 (최대 1,140만 원 이상 가능)
복무 기간 동안 자동이체로 꾸준히 납입하면, 전역 후 목돈 마련이 가능합니다.
장병에게는 실질적인 목돈 형성 수단이자 절세 수단입니다.
4. 정책형 통장 비교 요약
항목청년형 ISA청년도약계좌장병내일준비적금
연령 조건 | 19~34세 | 19~34세 | 병역 의무자 |
소득 조건 | 총급여 5천만 원 이하 | 소득·가구 기준 | 해당 없음 |
기간 | 3년 이상 | 5년 | 복무 기간 |
월 납입 한도 | 166만 원 | 70만 원 | 40만 원 |
비과세 한도 | 최대 400만 원 | 전액 비과세 | 전액 비과세 + 지원금 |
지원금 | 해당 없음 | 정부기여금 있음 | 정부 1:1 매칭지원 |
소시앤코 요약노트
- 청년형 ISA는 투자형 절세통장, 청년도약계좌는 고정납입형 장기 지원통장
- 청년도약계좌는 소득공제 + 이자 비과세 + 정부기여금까지 3중 혜택
- 장병내일준비적금은 병역 의무자라면 반드시 가입할 가치가 있음
- 각 통장은 중복 불가 또는 조건 충족 여부가 다르니 사전 비교 필수